사실 손바닥보다 작은 컴퓨터라고는 하지만 한국에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은 리눅스 기반 OS인데다가 성능이 많이 개선되었다고는 하나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원격 접속을 이용해서 많이들 사용한다.
우선 원격 접속을 하는데에는 두 가지가 있다.
SSH는 Secure Shell의 약자로, command line interface의 형태를 띄고 있다.(명령 프롬프트 같은 형태)
활성화 방법은 예전에 한번 다뤘던 Raspberry Pi Configuration 창에서 Interfaces탭으로 이동한다.

두 번째 항목의 SSH를 Enable하고 OK 버튼을 눌러 저장한다.
다음으로, 터미널을 실행해 현재 IP 주소를 확인해보자
ifconfig
여러가지 항목이 나올텐데, 그 중 유선 연결의 경우 eth, 무선 연결의 경우 wlan 항목을 살펴본다.
두 번째 줄의 inet 000.000.000.000이 현재 라즈베리파이의 주소이다.
이제 다른 PC로 가서 접속을 시도해보자.
Windows 기준으로 putty가 가장 많이 쓰이는 ssh 지원 프로그램이다.
Download PuTTY: latest release (0.77)
This page contains download links for the latest released version of PuTTY. Currently this is 0.77, released on 2022-05-27. When new releases come out, this page will update to contain the latest, so this is a good page to bookmark or link to. Alternativel
www.chiark.greenend.org.uk
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신의 PC 사양에 맞게 다운받은 후 설치한다.
설치가 완료된 후 실행하면 투박해보이는 프로그램이 보일 것이다.

커서가 있는 Host Name (or IP address) 항목에 라즈베리파이의 IP를 넣고 Open을 클릭하면 계정을 묻는 화면이 나온다.

라즈베리파이에 설정했던 아이디를 넣고 엔터, 다음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엔터를 클릭하면 연결이 완성된다.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 업데이트 실패 (0) | 2022.08.03 |
---|---|
라즈베리파이 - 원격 접속(XRDP) (0) | 2022.08.03 |
라즈베리파이 - 초기 설정 (0) | 2022.08.03 |
라즈베리파이 OS(라즈비안) 설치 (0) | 2022.08.03 |
라즈베리파이 소개 (0) | 2022.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