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트의 원격 접속이 지루해보이는 CLI 형태라면 이번엔 일반적으로 익숙한 UI를 가지는 원격 접속 방법이다.
원격 접속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많지만, 대부분 호스트 - 리모트 PC 양 쪽 모두에 용도에 맞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때문에 프로그램에서 특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번거롭기 그지없다.
오늘 소개할 XRDP는 라즈베리파이에 설치해두면 언제 어디서든 Windows가 설치된 PC라면 원격 접속을 할 수 있다.
일단 지난 시간에 했던 SSH를 이용해서 원격 접속을 실행해보자.
Windows 기준 윈도우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띄우고, putty 입력 후 실행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macOS는 터미널에서 원격 접속을 실행하면 된다.
SSH 실행 후 접속이 완료되면 아래의 명령을 쳐서 라즈베리파이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하도록 하자.
sudo apt-get update -y && apt-get upgrade -y
라즈베리파이OS 설치 후 처음 저 명령을 할 때는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간옥 위 명령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는 아래 글을 참고하면 된다.
라즈베리파이 - 업데이트 실패
원인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할 시 패키지 목록을 불러오기 위한 주소를 내부에 저장해두는데, 해당 주소가 문제가 생길 경우 에러가 발생. 해결 해당 주소를 국내용으로 업데이트 sudo nano /etc/ap
adamz.tistory.com
완료되고나면 다시 명령 입력이 가능하게 되는데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sudo apt-get install xrdp
설치가 완료되면 끝!
이제 원격 접속할 PC에서,
Windows 기준 원격 데스크톱 연결 (윈도우 + R, mstsc 실행)
macOS 기준 Microsoft remote Desktop 설치 후 실행
https://apps.apple.com/us/app/microsoft-remote-desktop/id1295203466?mt=12
한 후 마찬가지로 라즈베리파이의 IP주소를 넣고 로그인하면 원격 접속이 완료된다.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 고정 IP 할당 (0) | 2022.08.04 |
---|---|
라즈베리파이 - 업데이트 실패 (0) | 2022.08.03 |
라즈베리파이 - 원격 접속(SSH) (0) | 2022.08.03 |
라즈베리파이 - 초기 설정 (0) | 2022.08.03 |
라즈베리파이 OS(라즈비안) 설치 (0) | 2022.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