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와 구성품이 모두 준비되었다면 이제 OS를 설치할 차례이다.
지금의 라즈베리파이는 윈도우 없이 구매한 컴퓨터 본체라고 보면 된다.
컴퓨터 OS에도 종류가 있듯이 라즈베리파이도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OS가 있고 그중에 택할 수 있다.
다만 PC와 달리 USB에 윈도우 이미지를 받아 설치하는게 아니고 SD카드에 직접 이미지를 받는다.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필요하다.
우선 컴퓨터에서 마이크로SD카드에 이미지를 넣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Raspberry Pi OS – Raspberry Pi
From industries large and small, to the kitchen table tinkerer, to the classroom coder, we make computing accessible and affordable for everybody.
www.raspberrypi.com
위 사이트로 들어가면 중간에 다운받을 수 있는 부분이 보인다.
자신의 OS 종류에 맞게 다운받은 후 설치하면 프로그램 준비는 끝난다.
프로그램 실행 화면이다. 정말, 굉장히 직관적이다. 너무 좋다.
"라떼는 말이야"이긴 한데...
처음 라즈베리파이 구매했을땐 Raspberry Pi Imager가 나오지 않아서 공식 홈페이지에서 배포하는 OS를 직접 다운로드도 아니고 토렌트로 받아서 balenaEtcher같은 프로그램으로 SD카드에 직접 이미지를 올렸어야 했다.
balenaEtcher를 쓰면서 한번 장애를 겪었는데, 설치 완료 후의 검증 단계에서 이미지 자체의 검증 데이터와 설치된 SD카드의 검증 데이터가 서로 달라 SD카드도 바꿔보고 SD카드 마운트하는 아답터도 바꿔보고 드라이버 재설치에 PC도 다른데로 옮겨보고 진짜 별짓을 다했었다.
포럼에서 알고보니 balenaEtcher 프로그램 에러... 지금은 저런 자체 프로그램이 나와줘서 너무 좋다.
고를 수 있는 OS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기본적으로 ARM기반이면 대부분 가능한듯 하다. 게임 에뮬레이터OS도 예전에 동전 오락기 만들어볼까 해서 잠깐 설치해봤던 기억이 난다.
아무튼 우리는 가장 위의 라즈베리파이 OS를 쓰면 된다. Debian 기반의 리눅스를 라즈베리파이에 맞게 수정한 OS라고 보면 된다.
※1.72버전으로 업데이트되면서 설치시 ssh, 무선 네트워크 설정이 가능해졌다.
아래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내용을 볼 수 있다.
ssh는 라즈베리파이의 계정을 사용할 것이므로 비밀번호 인증 사용에 체크
다음으로 라즈베리파이의 계정을 만들어준다. 사용자 이름은 원하는 이름으로 바꾸고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라즈베리파이를 설치할 장소에서 사용할 무선 네트워크 이름과 패스워드를 써준다.
요즘도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라즈베리파이의 무선 네트워크 이슈 중 Wifi국가를 다른 국가로 바꿀 경우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간혹 있어서 그대로 GB로 설정해줬다.
로케일 시간대는 바꿔도 상관없다.
그런 뒤에 storage에 마이크로SD카드를 선택한 후 WRITE 버튼을 클릭하면 이미지 준비도 끝난다.
모니터 없이 설치
최신 버전의 라즈베리파이 이미저가 아닐 경우 위 설치 과정 중 ssh와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따로 해줘야 한다.
OS이미지가 올라간 마이크로SD카드를 PC에 꽂은 상태에서 확인해보면 일반적으로 파일을 넣었을 때와 같이 돼있는데, 여기서 두 개의 파일을 새로 만들어준다.
(마우스 우클릭 -> 새로 만들기 -> 텍스트 문서)
- ssh
- wpa_supplicant.conf
Windows 에서 작업 중이라면 반드시 파일 확장명을 표시해서 전체 파일명을 수정해야한다.
1번 ssh는 파일만 만들어두면 되고, 2번은 내용도 추가해야한다.
country=GB
ctrl_interface=DIR=/var/run/wpa_supplicant GROUP=netdev
update_config=1
network={
ssid="WIFI 이름"
psk="WIFI 암호"
}
이제 저장한 후 마이크로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장착하고 모니터(hdmi), 키보드 마우스와 전원케이블을 연결하면 불이 켜지면서 부팅이 된다.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 업데이트 실패 (0) | 2022.08.03 |
---|---|
라즈베리파이 - 원격 접속(XRDP) (0) | 2022.08.03 |
라즈베리파이 - 원격 접속(SSH) (0) | 2022.08.03 |
라즈베리파이 - 초기 설정 (0) | 2022.08.03 |
라즈베리파이 소개 (0) | 2022.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