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그게 뭐지?
최근에 개발 혹은 IT에 흥미 있는 사람들은 ChatGPT라는 단어를 한 번쯤 들어봤을 수도 있다.
https://openai.com/blog/chatgpt/
ChatGPT: Optimizing Language Models for Dialogue
We’ve trained a model called ChatGPT which interacts in a conversational way. The dialogue format makes it possible for ChatGPT to answer followup questions, admit its mistakes, challenge incorrect premises, and reject inappropriate requests. ChatGPT is
openai.com
ChatGPT는 OpenAI에서 개발한 실시간 인공지능 채팅 AI로, 나이 지긋하신 분들은 그 옛날 맥스 채팅 게임을 생각하면 편하다.
https://www.bloter.net/newsView/blt201509080003
DOS 시절 ‘맥스’가 열어준 개발자의 삶 #박정만
“안녕?”이라고 말하면 “안녕!”이라고 대답해주던 소프트웨어가 있었다. “어떤 연예인을 좋아해?”라고 물으면 “난 연예인에 별로 관심 없어”
www.bloter.net
물론 젊은 친구들은 심심이가 더 와닿을 수 있다.
인공지능으로 코딩을?
ChatGPT는 인공지능이니 좀 더 원하는 대답을 하겠지? 정도의 수준으로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우선, 최근에 Flutter 프레임워크에 흥미가 생겨 dart 언어를 공부하는 중인데, 맨땅에 해딩하다보니 검색해도 잘 안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때 ChatGPT를 이용해 질문을 해봤다.
물론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었더니 잘 동작했다.
뭐지? 하는 마음에 에러가 났던 코드를 그대로 복사해서 넣고 고쳐달라고 요쳥해봤다.
기초적인 내용일지 모르겠으나, 내 경우 cupertino 스타일의 앱을 만들고 싶은 마음에 material에 해당되는 위젯들을 전부 cupertino로 바꾼 상황이었다. 요점을 정확하게 파악해서 코드를 수정까지 해준다.
물론 AI도 실수를 한다. 질문에 대한 요점을 파악하지 못하거나 잘못 이해했을 때는 죄송하다며 사과를 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MBA 시험까지 통과했다고 한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news/17865805?po=0&sk=title&sv=chatgpt&groupCd=&pt=0
ChatGPT, 와튼 스쿨 MBA 시험 통과해 (연구) : 클리앙
ChatGPT passes MBA exam given by a Wharton professor https://www.nbcnews.com/tech/tech-news/chatgpt-passes-mba-exam-wharton-professor-rcna67036 (NBC 뉴스 기사) Would Chat GPT3 Get a Wharton MBA? New White Paper By Christian Terwiesch https://mackinstit
www.clien.net
ChatGPT, 어떻게 하는거지?
사용법은 간단하다. 이 포스트의 맨 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접속되는데, 회원가입을 하고 가운데
TRY CHATGPT를 클릭하면 채팅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온다.
단점은 없나?
물론 존재한다. 광범위한 데이터를 처리하기에 당연히 잘못된 정보가 있을 수 있고, 유해한 데이터를 받을 수도 있으며, 채팅 메인 화면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현재는 2021년 이 후 정보는 제한되어있는 듯 하다.
또한 사용하다보며 느낀 단점으로는 채팅기반으로 답변하는지라 반응이 답답하게 생각될 수 있고, 가끔 멈추기도 하며 한글로 묻는 질문에 영어로 답하기도 한다.
이 부분은 새로운 답변을 요청하거나 한국말로 말해줘 라고 요청하면 다시 한글로 답변을 한다.
돈이 될까?
최근 개발사에서 프로페셔널 요금제를 일부 유저에게 노출했다고 하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성능 검증이 완료되면 차기 검색엔진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충분히 보인다. 현재는 세계적으로 구글이 압도적이고, 국내에서는 네이버, 구글 카카오 순이지만 사실 네이버, 다음의 경우 엔진의 성능 자체가 우수해서라기 보다는 자체 플랫폼이 가진 자료들을 사용자 입맛에 맞게 뿌리는 이유라고 본다. 실제로 네이버와 카카오의 경우 블로그나 뉴스, 카페등의 자료를 클릭하는 빈도가 타 플랫폼의 웹페이지를 클릭하는 빈도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다.
멀지 않은 미래에 단순 질문이나 상담 등의 챗봇은 충분히 대체되지 않을까 싶다.
마치며
하지만 ChatGPT를 비롯한 최근 AI알고리즘이 인간의 당초 예상과는 달리 단순 업무가 아니라 창의적인 영역에 접근하면서 여러 가지 생각해볼 요소가 참 많다.
아래 글은인터넷에서 본 글인데, 출처를 찾고 찾다보니 해당 글이 나왔다.
https://www.dogdrip.net/460175340
AI그림사태로 보는 유발 하라리가 말한 'AI로 대체되기 가장 쉬운 직업' - DogDrip.Net 개드립
과거 이세돌 vs 알파고 대전이 전세계적인 이슈를 끌고 본격적으로 AI가 이슈화되기 시작한 2016년 당시 대부분의 전문가들과 사람들은 "노동강도가 높고 일이 단순한 직업"들이 빠르게 대체될 것
www.dogdrip.net
어쩌면 과학의 발전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과는 정 반대의 미래로 다가오진 않을까?
AI·미래전략센터의 김태원 수석연구원님이 작성한 글을 참고해보는 것도 좋겠다.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82618&bcIdx=25163&parentSeq=25163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bcIdx=25163&cbIdx=82618&parentSeq=25163
[THE AI REPORT 2023-1] ChatGPT는 혁신의 도구가 될 수 있을까? : ChatGPT 활용 사례 및 전망 2023.01.25 조회수 6148 김태원 AI-미래전략센터 [THE AI REPORT 2023-1] ChatGPT는 혁신의 도구가 될 수 있을까? : ChatGPT 활용
www.nia.or.kr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자주 쓰는 터미널 명령어 (0) | 2022.08.08 |
---|---|
파이썬 - Requests를 이용한 Crawling (0) | 2022.08.04 |
VSCode 설치 (0) | 2022.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