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를 재부팅 없이 꾸준히 사용하다보면(혹은 방치하다보면) 점점 느려지는 기분이 들게 된다.
실제로 htop명령을 이용해 확인해보면 Swp부분이 꽉차있는걸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라즈베리파이의 메모리가 작기 때문에 디스크 용량의 일부를 메모리처럼 바꿔쓰는 기능인데, 이 부분 역시 꽉차서 메모리와 디스크에 동시에 로드가 걸리기 때문이다. 재부팅하면 Swp부분이 다시 0으로 초기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우선은 100MB로 할당이 되어있어 턱없이 부족하다. 이를 2기가 정도로 늘리면 일반적으로 쓰는데 문제 없다.
우선은 swap을 행하는 서비스를 중지해주자.
sudo service dphys-swapfile stop
그 다음 아래 경로의 파일을 수정한다.
sudo nano /etc/dphys-swapfile
반응형

CONF_SWAPSIZE부분의 100은 100MB를 swap memory에 사용한다는 뜻이므로 2048로 수정하고 저장한다.
저장이 완료되면 다시 서비스를 시작해준다.
sudo service dphys-swapfile start
마지막으로 htop을 실행해 Swp부분을 확인해보면 2GB로 수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 WOL 서버 만들기 (아이폰으로 컴퓨터 켜기) (0) | 2022.08.26 |
---|---|
라즈베리파이 - HTTPS 우회 (0) | 2022.08.04 |
라즈베리파이 - FTP 서버 설치 (0) | 2022.08.04 |
라즈베리파이 - 외장하드 연결 (0) | 2022.08.04 |
라즈베리파이 - MariaDB 설치 (0) | 2022.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