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che2는 웹 서버 프로그램이다.
이전에 작업한 공유기의 DDNS 기능을 이용해 집이 아닌 외부에서도 http://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언제든 접속 가능하다.
일단 시작해보자.
sudo apt-get install apache2 -y
위 명령을 이용해 apache2를 설치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라즈베리파이의 크로뮴을 실행해서 http://localhost 주소를 입력해보자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된 것이다.
해당 페이지는 /var/www/html/index.html이다.
편한 작업을 위해 해당 폴더로 이동하자.
cd /var/www/html
index.html은 쓸 일이 없기 때문에 삭제해도 무방하다.
rm index.html
rm은 파일 혹은 폴더를 삭제하는 명령어로, 폴더를 삭제할 경우 -r 명령을 추가한다.
html폴더의 모든 파일 및 폴더를 삭제하기를 원한다면
rm -r /var/www/html/*
이런식으로 입력하면 된다.
웹서버의 기본 페이지 파일은 index. + 확장자이다. html파일을 기본 페이지로 사용한다면 index.html, php파일을 쓴다면 index.php이다.
아직 php를 설치하기 전이므로 index.html을 새로 만들어보자.
nano index.html
간단하게 Hello world! 를 입력하고 ctrl + O, 엔터, ctrl + X 를 입력해 저장하고 다시 http://localhost 페이지로 이동해보면

입력한대로 페이지가 바껴있다.
만일 index.html이 아닌 index1.html 이런식으로 파일명을 바꿨다면 http://localhost/index1.html 이렇게 파일명을 명시해줘야 한다.
웹서버는 이걸로 끝이다.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 MariaDB 설치 (0) | 2022.08.04 |
---|---|
라즈베리파이 - php 설치 (0) | 2022.08.04 |
라즈베리파이 - 공유기 설정 (0) | 2022.08.04 |
라즈베리파이 - 고정 IP 할당 (0) | 2022.08.04 |
라즈베리파이 - 업데이트 실패 (0) | 2022.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