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 - 고정 IP 할당

이똑똑 2022. 8. 4. 09:52

원격 접속 환경을 구성하더라도 라즈베리파이의 IP가 변경되면 공유기 관리 페이지에 들어가서 라즈베리파이가 몇번 IP가 할당됐는지 확인하고 접속을 시도해야한다.

때문에 이를 고정으로 할당해야 매번 이 수고로움을 끝낼 수 있다.

일단 라즈베리파이 기본 텍스트 편집기에는 vi와 nano가 있는데, 나는 nano가 편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nano로 진행할 예정이다.

예전에는 vi를 많이 쓴거 같은데 점점 nano로 바뀌는 추세더라.

터미널이나 SSH로 접속 후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자.

sudo nano /etc/dhcpcd.conf

앞의 sudo는 관리자급의 권한이 있어야 편집 가능한 파일을 열 때 쓰는 명령어다.

nano는 텍스트 편집기 프로그램의 이름이고, 그 뒤는 파일의 경로다. 즉, 해석하자면 관리자 권한으로 /etc/dhcpcd.conf 파일을 편집하겠다 라는 뜻이다.

여러 가지 내용이 있는데,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해 커서를 맨 아래로 내리고 다음 내용을 추가하자.

 

반응형

 

#유선의 경우
interface eth0
static ip_address=192.168.0.2/24
static routers=192.168.0.1
static domain_name_servers=8.8.8.8

#무선의 경우
interface wlan0
static ip_address=192.168.0.2/24
static routers=192.168.0.1
static domain_name_servers=8.8.8.8
 

2번째 줄의 192.168.0.2/24 부분은 내가 내부주소 100을 원한다면 192.168.0.100/24으로 수정하면 된다.

static routers는 공유기의 IP주소를 적어주면 된다. 보통 192.168.0.1이지만 통신사 공유기의 경우 간혹 이상한 IP주소를 세팅하는 경우도 있다.

저장(Ctrl + O, 엔터), 종료(Ctrl + X)한 후 아래 명령으로 재부팅한다.

sudo reboot

재부팅이 완료되면 공유기 관리 페이지나 ifconfig 명령어를 이용해 IP주소가 제대로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반응형